라이프/산업안전 교육

<한문철의 현장 속으로> 업무상 재해와 재해 유형 평가 문제 답지

essay6828 2025. 3. 14. 22:20
반응형

문제 1.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업무 중에 일어난 사고
  2. 업무로 인한 질병
  3. 출퇴근 중 일어난 사고
  4. 고의로 인한 사고
  • 정답: 4번. 고의로 인한 사고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문제 2. 근로기준법 시행령에 따른 업무상 질병의 범위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업무상 부상으로 인한 질병이다.
  2. 물리적 요인으로 인한 질병이다.
  3. 화학적 요인으로 인한 질병이다.
  4. 직업성 암은 업무상 질병이 아니다.
  • 정답: 4번. 직업성 암은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문제 3. 업무상 재해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업무상 사고
  2. 업무상 질병
  3. 업무상 에러
  4. 출퇴근 재해
  • 정답: 3번. 업무상 에러는 일반적으로 업무상 재해의 유형으로는 분류되지 않습니다.

문제 4.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 질병, 장해 또는 사망에 대한 설명은 무엇인가?

  1. 직무스트레스
  2. 근골격계질환
  3. 업무상 재해
  4. 직장 내 괴롭힘
  • 정답: 3번. 업무상 재해에 해당합니다.

문제 5.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는 요건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그 행위가 해당 근로자의 본래의 업무행위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된다.
  2. 그 업무의 준비행위 또는 정리행위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지 않는다.
  3. 사회통념상 그에 수반되는 것으로 인정되는 생리적 행위 또는 합리적, 필수적 행위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된다.
  4. 단체협약 그 밖의 관행에 의해 개최되는 행사에 참가하는 행위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된다.
  • 정답: 2번. 준비행위나 정리행위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문제 6. 산업안전용어 중 업무상 질병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업무수행 과정에서 물리적 인자, 화학물질, 분진, 병원체 등을 취급할 때 발생하는 질병이 해당
  2. 신체에 부담을 주는 업무, 과로 등 근로자의 건강에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발생되는 질병이 해당
  3. 사업장의 각종 요인에 노출되어 발생한 질병이 해당
  4. 그 밖에 업무와 관련해 발생한 질병은 업무상 질병은 아님
  • 정답: 4번. 업무와 관련된 질병은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문제 7. 업무수행 중 사고에서 제외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사업주의 구체적인 지시를 위반한 행위
  2. 근로자의 사적 행위
  3. 정상적인 출장 경로를 벗어났을 때 발생한 사고
  4. 사업주의 지시를 받아 사업장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
  • 정답: 4번. 사업주의 지시를 받아 사업장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는 업무수행 중 사고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문제 8. 업무수행 중 사고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수행 행위 중 사고는 업무수행 중 사고이다.
  2. 업무수행 과정에서 하는 용변 등 생리적 필요 행위 중 사고는 업무수행 중 사고이다.
  3. 업무를 준비하거나 마무리하는 행위, 그 밖에 업무를 따르는 필요적 부수행위 중 사고는 업무수행 중 사고이다.
  4. 천재지변, 화재 등 사업장 내에 발생한 돌발적인 사고에 따른 긴급피난, 구조행위 등 사회통념상 예견되는 행위는 업무 중 사고가 아니다.
  • 정답: 4번. 긴급피난이나 구조행위는 업무 중 사고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문제 9. 업무상 사고 재해자와 업무상 질병 재해자의 분류기준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산업재해가 우발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업무상 사고 재해자로 분류한다.
  2.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 발생하는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 재해자로 분류한다.
  3. 화학적, 물리적 인자로 인한 질환은 정상적인 작업 중에 장시간 노출되어 만성 중독, 손상을 입은 경우에 업무상 질병 재해자로 분류한다.
  4. 떨어짐, 넘어짐 등의 사고 또는 평상시 수행하던 작업과 다른 일시적인 중량물 취급 등의 작업, 동작, 행위로 급격하게 발병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 재해자로 분류한다.
  • 정답: 4번. 급격하게 발병한 경우는 일반적으로 업무상 사고로 분류됩니다.

★다음은 업무상 재해 유형 중 시설물 결함 등에 따른 사고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 사업주가 제공한 시설물 등을 사업주의 구체적인 지시를 위반해 이용한 행위로 발생한 사고도 포함된다.

★다음은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는 요건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 그 업무의 준비행위 또는 정리행위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지 않는다.

★다음 설명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산업안전보건법(정부의 책무, 산업재해 발생기록 및 보고 등)및 통계법(정의) 규정에 의거, 산업재해기록.보존 및 통계 산출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재해예방기관 및 사업주 등이 산업재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계를 효과적으로 화용

정답 산업재해 기록 및 분류

★다음은 업무상 재해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업무상 에러

★다음은 업무수행 중 사고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정답 천재지변.화재 등 사업장 내에 발생한 돌발적인 사고에 따른 긴급피난.구조행위 등 사회통념상 예견되는 행위는 업무 중 사고가 아니다.

★다음은 사업장 근로자의 업무관련성평가에서 어떤 용어에 대한 정의인가? 업무수행 과정에서 근로자의 건강에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을 취급하거나 그에 노출되어 발생한 질병, 업무상 부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질병, 그 밖에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한 질병을 말한다.

정답 업무상 질병

★다음 중 업무수행 중 사고에서 제외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사업주의 지시를 받아 사업장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

★다음은 근로기준법 시행령에 따른 업무상 질병의 범위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정답 직업성 암은 업무상 질병이 아니다.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질병.장해 또는 사망

정답 업무상 재해

★다음은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정답 고의로 인한 사고

★다음은 근로기준법 시행령에 따른 업무상 질병의 범위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정답 직업성 암은 업무상 질병이 아니다.

★다음은 업무상 재해 유형 중 업무수행 중 사고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 그 밖에 업무에 따르는 필요적 부수행위는 업무수행 중 사고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음은 업무상 사고 재해자와 업무상 질병 재해자의 분류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정답 떨어짐.넘어짐 등의 사고 또는 평상시 수행하던 작업과 다른 일시적인 중량물 취급 등의 작업.동작.행위로 급격하게 발병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 재해자로 분류한다.

★다음은 산업안전용어 중 업무상 질병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정답 그 밖에 업무와 관련해 발생한 질병은 업무상 질병은 아님

★다음은 업무상 질병의 인정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 근로자가 유해.위험요인에 노출되거나 유해.위험요인을 취급한 것이 원인이 되지 않아도 그 질병이 발생하였다고 의학적으로 인정이 되면 인정된다.

★다음은 사업장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평가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 사업장의 보건관리자 및 근로자가 업무관련성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과 행정 절차를 알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되지 않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