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철의 안전보건 리뷰> 소음성 난청의 예방관리 문제·정답지
1. 큰소리의 정의
문제:
다음 중 큰소리를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① 음압 낮음
② 주파수 적음
③ 음압 높음
④ 진폭 작음
정답: ③
2. 소음의 허용농도 기준
문제:
다음 중 소음의 허용농도 기준으로 올바른 것은?
① 1일 노출시간 4시간 - 100dB
② 1일 노출시간 4시간 - 105dB
③ 1일 노출시간 1시간 - 100dB
④ 1일 노출시간 1시간 - 105dB
정답: ④
3.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기본내용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① 소음성 난청의 예방과 청력보호를 위한 교육의 제공 여부
② 작업장 소음 수준의 정기적인 측정과 평가 여부
③ 청력보존프로그램의 수립·시행의 문서 및 기록·관리는 불필요
④ 청력보호구의 제공과 착용지도
정답: ③
4. 소음성 난청의 정의
문제:
특수건강진단에서 기도 순음어음 청력검사상 3,000, 4,000 또는 6,000Hz의 고음역 영역에서 어느 하나라도 50dB의 청력손실이 인정된다. 삼분법 500(a), 1,000(b), 2,000(c)에 대한 청력손실정도로서 (a+b+c)/3평균 30dB 이상의 청력손실, 직업력상 소음노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① 일시적 난청
② 일상적 난청
③ 영구적 난청
④ 소음성 난청
정답: ④
5. 소음방지대책 중 소음원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발생원의 고소음화
② 발생 원인의 제거
③ 차음 또는 음 제거
④ 방진 또는 제진
정답: ①
6.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정의
문제:
근로자의 청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음측정, 공학적 소음제어와 행정적 관리, 청력보호구 착용, 청력검사 및 의학적 판정, 보건교육 및 훈련, 기록보관 및 프로그램 효과 평가 등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① 청력보존 프로그램
② 소음방지 프로그램
③ 청력 프로그램
④ 감청 프로그램
정답: ①
7. 소음성 난청의 발생기전과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소음노출 형태에 따른 손상 부위: 와우의 기전회전 부위의 손상을 야기한다.
② 노출 시간과 와우 손상 진행의 관계: 손상의 부위는 일부는 회복되나 나머지는 퇴행성으로 진행된다.
③ 소음성 난청에 대한 감수성: 위해성이 있는 소음에 지속적 노출 시 큰 손상을 준다.
④ 진단: 바로 확인이 된다.
정답: ④
8. 소음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람이 원하지 않는 소리는 소음이다.
② 정신적, 신체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소리는 소음이다.
③ 소음 규제 기준 등에서 정하고 있는 큰 음량의 소리는 소음이다.
④ 대화, 회의, 생각, 수면 등을 방해하는 소리는 소음이 아니다.
정답: ④
9. 소음의 종류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연속음
② 단속음
③ 충격음
④ 해체음
정답: ④
10. 강력한 소음이 주는 청력에 대한 영향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일시적 청력손실은 강력한 소음에 노출되어 생기는 난청이다.
② 일시적 청력손실은 소음에 노출된 지 2시간 이후부터 발생한다.
③ 영구적 청력손실은 하루 작업에서 일어나는 소음의 노출에 충분하게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소음에 노출되어 회복과 치료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④ 영구적 청력손실은 저음 음역에서 청력손실이 가장 심하다.
정답: ④
11. 소음작업의 정의
문제: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청력작업
② 소음작업
③ 감정노동
④ 중량물 작업
정답: ②
12. 소음의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사람이 원하지 않는 소리
② 인체에 유익한 소리
③ 수면을 방해하는 소리
④ 규제기준 등에서 정하고 있는 큰 음량의 소리
정답: ②
13. 소음성 난청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예방이 불가능
② 통증이 없음
③ 과노출에 누적되어 발생
④ 영구적
정답: ①
14. 순음청력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순음청력검사
② 소음검사
③ 유해요인검사
④ 안전검사
정답: ①
※ 소음노출이 중단된 지 14시간 이상 지난 후 시행
15.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 강한 소음에 단시간 또는 순간적으로 노출되어 발생하는 것은?
① 음향외상성 난청
② 일시적 청력손실
③ 영구적 청력손실
④ 일상적 청력손실
정답: ①